안녕하세요, 사장님들의 든든한 비서 리밋넘기입니다! 😊 지난번 '2025년 4대보험료율 총정리' 포스팅 이후, 정말 많은 분께서 '그래서 월급 300만원이면 보험료가 정확히 얼마냐'는 질문을 주셨어요. 사실 저도 사업 초반에는 직원 급여일마다 계산기 붙들고 30분씩 끙끙댔던 기억이 납니다. 작은 실수 하나로 급여를 잘못 지급할 뻔한 아찔한 경험도 있었죠.
그래서 오늘은 사장님들의 칼퇴를 위해, 월 급여액만 입력하면 근로자와 사업주가 부담해야 할 4대 보험료를 1초 만에 계산해주는 자동 계산기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직접 만들어 몇 년째 유용하게 쓰고 있는 엑셀 계산기 서식과 수식까지 아낌없이 공유해 드릴게요!
1. 2025년 4대 보험료율 다시 보기 📊
계산에 앞서, 2025년에 적용될 보험료율을 빠르게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대부분 동결되었지만, 정확한 숫자를 알아야 올바른 계산이 가능하겠죠?
| 구분 | 총 요율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
| 국민연금 | 9% | 4.5% | 4.5% |
| 건강보험 | 7.09% | 3.545% | 3.545% |
| 장기요양보험 | 건보료의 12.95% | 노사 50%씩 부담 | |
| 고용보험(실업급여) | 1.8% | 0.9% | 0.9% |
*산재보험은 사업주 100% 부담, 고용보험의 고용안정사업료는 사업주 부담이므로 위 표에서는 제외했습니다.
https://www.thereisnolimit27.kr/2025/07/2025-4_16.html
2. 월 급여별 4대보험료 1초 자동 계산기 🧮
직원의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월 급여(과세 표준액)를 아래 칸에 입력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보세요.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부담해야 할 보험료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국민연금은 소득 전체에 대해 부과되지 않아요. 2024년 7월 ~ 2025년 6월 기준, 월 소득이 37만원보다 적으면 37만원으로, 590만원보다 많으면 590만원으로 계산합니다. 위 계산기는 이 상/하한액 기준이 자동으로 적용되어 있습니다.
3. 직접 만드는 4대보험 엑셀 계산기 📁
자동 계산기도 편리하지만, 여러 직원의 급여를 관리하려면 엑셀 파일이 더 유용하죠. 제가 사용하는 엑셀 서식과 수식을 그대로 알려드릴 테니, 복사해서 나만의 급여대장을 만들어보세요!
[엑셀 서식 예시]
아래 표를 그대로 복사해서 엑셀이나 구글 시트에 붙여넣기 해보세요.
| A: 직원명 | B: 월 급여(과세) | C: 국민연금(근로자) | D: 건강보험(근로자) | E: 고용보험(근로자) | F: 총 공제액 |
|---|---|---|---|---|---|
| 홍길동 | 3,000,000 | (수식 입력) | (수식 입력) | (수식 입력) | (수식 입력) |
[엑셀 수식]
위 표의 2행을 기준으로, 각 셀에 아래 수식을 복사해 붙여넣으세요.
C2 (국민연금):=FLOOR(IF(B2>5900000, 5900000*4.5%, IF(B2<370000, 370000*4.5%, B2*4.5%)), 10)
D2 (건강보험+장기요양):=FLOOR(B2*3.545%, 10) + FLOOR(FLOOR(B2*3.545%, 10)*12.95%, 10)
E2 (고용보험):=FLOOR(B2*0.9%, 10)
F2 (총 공제액):=SUM(C2:E2)
위 엑셀 수식은 근로자 부담분만 계산합니다. 또한, FLOOR 함수를 사용해 원단위 금액을 절사하는 일반적인 회계처리 방식을 따랐으나, 회사 내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서식은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고, 정확한 회계처리는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계산기 두드릴 일 없이, 월급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보험료가 계산되니 정말 편하죠? 이 포스팅이 사장님들의 소중한 시간을 아껴드리는 유용한 도구가 되었으면 합니다. 궁금한 점은 언제나처럼 댓글로 남겨주세요! 항상 사장님들을 응원하겠습니다. 👍
